[DB] SQL vs NoSQL SQL은 사전에 정의된 스키마를 모델링하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로 행과 테이블과 같은 구조화된 데이터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기존 접근 방식의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반면 ‘Not Only SQL’의 약자인 NoSQL은 보다 유연한 비관계형 접근 방식을 제공하여 구조화되지 않은 데이터 또는 동적 데이터를 처리하는데 이상적이다. 프로젝트에 사용 되는 데이터가 점점 다양해지고 시작할 때 프로젝트에 맞는 데이터베이스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함에 따라 SQL과 NoSQL의 핵심적인 차이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SQL 이란?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RDBMS)의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설계된 특수 목적의 프로그래밍 언어다. 사용자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저장, 수정, 삭제 및 검색 할 수 있다.. 2024. 11. 27. [자료구조] 이진 탐색 트리 (Binary Search Tree) 오늘은 저번에 공부 했던 힙과 마찬가지로 트리 구조 중 하나인 이진 탐색 트리에 대해 공부해 보겠다. 현재 차근차근 해보자는 생각에 기초적인 부분을 공부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글에 작성하거나 추후 글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해보겠다.틀린 내용이 있거나 궁금한게 있다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념이진 탐색 트리(Binary Search Tree)는 그래프의 트리 구조로 각 노드에 데이터가 저장된다.이진 탐색 트리의 예시 이다. 각 노드에 쓰인 숫자가 데이터 이다. 이진 탐색 트리에는 두가지 특징이 있다. 첫번쩨, 각 노드의 값은 왼쪽 가지에 있는 노드들의 값보다 크다는 특징이 있다.예시를 보면 노드 9는 왼쪽 가지에 있는 값보다 크다. 두번째, 각 노드의 값은 오른쪽 가지.. 2024. 7. 31. [자료구조] 힙 (Heap) 오늘 공부한 내용은 힙(Heap)이다. 이제 점점 낮선 자료구조들이 나오기 시작한다.확실하게 이해하고 넘어가도록 해야겠다. 현재 차근차근 해보자는 생각에 기초적인 부분을 공부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글에 작성하거나 추후 글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해보겠다.틀린 내용이 있거나 궁금한게 있다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념힙(Heap)은 그래프의 트리 구조 중 하나로 우선순위 큐를 구현하기 위해 만들어진 자료구조다. 우선순위 큐는 큐에 우선순위 개념을 접목시킨 것으로 데이터를 자유롭게 추가할 수 있지만, 꺼낼때는 우선순위가 높은 데이터를 먼저 꺼낸다. 힙을 비롯한 트리 구조에서 각 정점을 노드라고 부른다.각 노드는 자식 노드를 2개씩 가질 수 있다. 또한 노드는 위에서 붜 채워.. 2024. 7. 29. [자료구조] 해시 테이블 (Hash Table) 오늘 공부할 자료구조는 해시 테이블이다.해시 테이블은 이번에 처음 접해본 자료구조이다. 은연중에 사용했을지는 모르겠지만 이렇게 개념을 공부하는 건 처음이다. 물론 예전 자바에서 해시 맵(Hash Map)을 사용해보긴 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잘모르기 때문에 한번 공부해 보겠다. 현재 차근차근 해보자는 생각에 기초적인 부분을 공부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글에 작성하거나 추후 글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해보겠다.틀린 내용이 있거나 궁금한게 있다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념해시 테이블(Hash Table)은 해시 함수를 활용해 만든 데이터 구조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검색할 수 있다.※ 해시 함수는 추후에 다뤄 볼 예정이다.해시 테이블은 키(Key)와 값(Value)을 하나의 .. 2024. 7. 24. [자료구조] 큐 (Queue) 이번에 알아 볼 자료구조는 큐(Queue)다.큐 역시 개념은 대충알지만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한번 공부해 보겠다. 현재 차근차근 해보자는 생각에 기초적인 부분을 공부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글에 작성하거나 추후 글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해보겠다.틀린 내용이 있거나 궁금한게 있다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념큐(Queue)도 지금까지 공부했던 데이터 구조처럼 데이터를 한 열로 저장한다.스택과 비슷하지만, 큐는 추가하는 쪽과 삭제하는 쪽이 반대다.큐를 대기 행렬이라고도 하는데, 이름이 의미하듯 줄을 서는 행렬과 비슷하다. 새로운 사람은 마지막에 서고, 먼저 온 사람 순서대로 처리된다.큐의 개념도 이다. 현재 Red라는 데이터만 큐에 저장되어 있다. 데이터 추가큐에 데이.. 2024. 7. 23. [자료구조] 스택 (Stack) 이번에 알아 볼 자료구조는 스택(Stack)이다.스택은 Stack Overflow나 Stack Memory때문에 한번씩 접했던 자료구조다.문제 해결을 위해서 사용해본적 없기때문에 어떤식으로 사용되는지 공부해 보겠다. 현재 차근차근 해보자는 생각에 기초적인 부분을 공부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다른 글에 작성하거나 추후 글을 수정하는 방향으로 해보겠다.※ 틀린 내용이 있거나 궁금한게 있다면 편하게 댓글 남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개념스택은 데이터를 한 열로 저장하지만, 마지막에 추가한 데이터에만 접근할 수 있다.티셔츠를 개서 쌓아 올리면 가장 위에 있는 티셔츠만 집을 수 있고 중간을 건들면 무너지는 것 처럼 스택도 가장 위에 있는 데이터에만 접근 가능하다.스택에 데이터를 추가하면 맨 위에 추가.. 2024. 7. 22. 이전 1 2 3 다음